강정구 전 평화통일연구소 소장. 사진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
[짬] 평화통일연구소
강정구 감사
2030~50년 남북 평화통일 최적기
결정적 시기 대처 못하면 또 위기
연구소 설립부터 10년간 소장 맡아
주한미군 철수·군축 논의 금기 깨
22일 평통사 20돌·연구소 10돌 행사
그는 감사라지만 “회계감사가 아니고 업무감사”여서, 연구작업 등 실무 책임에선 좀 벗어났으나 연구의 방향과 과제 설정, 평가 등을 연구원들과 함께 논의하는 업무의 연속성이 여전히 강하다고 했다.“10년 전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군사·안보·외교 분야의 실천활동에 필요한 전문성과 대안 제시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는 요구가 평통사 내부에서 강하게 제기됐다. 한데 그런 분야는 이른바 ‘냉전영역’이어서 학계에서도 심층 연구를 꺼렸고, 시민사회나 민중운동 세력도나 그 영역에 손대기가 어려웠다. 그 분야는 군부(국방부)나 외교부, 청와대, 그리고 미군과 미국의 국무·국방부 쪽이 거의 정보를 독점했다.”평화통일연구소는 바로 “아마추어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던 시민사회·민중세력의 군사·안보·외교 분야 전문지식 등 대응역량을 프로 수준으로 끌어올려 평화와 통일을 가로막는 냉전적 정보·지식 독점체제와 맞장뜨기를 하며 잘못된 논리를 격파하기 위해 설립된 것”이다. 정부나 기업의 지원없이, 약 3천 명 정도 회원의 자발적 회비로만 운영되고 있다.창립 10돌을 맞은 지금 그는 “전문성 확보에선 충분하진 않지만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고 자평한다. 성역이 꽤 많이 허물었다는 자부심도 피력했다. “주한미군 철수나 군축, 한미 군사동맹 폐기 같은 주장은 이 전엔 입에 올릴 수도 없는 금기였으나 이젠 하나의 운동으로서 합법적 시민권을 획득했다.” 오혜란 평통사 전 사무처장이 그런 주장을 했다는 이유로 인천지검 공안부로부터 국가보안법상의 북체제 고무찬양·이적표현물 소지 혐의로 기소됐으나 지난 2월 1심 판결에서 무죄 판결이 나왔다. 그는 “정부도 평통사 덕을 많이 봤다”고 했다. 주한 미군 전략적 유연성 논의 때 한국을 전 세계 진출 전초기지로 삼으려던 미군은 한미상호방위조약 적용지역이 아시아태평양까지 포함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평통사는 그 적용범위가 한반도에 국한된다는 사실을 조약 내용 검토로 재확인했다고 했다. 2014~2018 한미 ‘방위비분담금’ 제9차 협상 때 미군은 비인적(非人的) 주둔비의 한국 부담이 40~45%에 그친다며 일본처럼 50%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평통사는 미 의회자료 등을 검색해 미국 주장대로 하더라도 이미 한국이 일본보다 더 높은 65%를 부담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994년 고 홍근수 목사(2013년 작고)를 중심으로 결성된 평통사(상임대표 문규현 신부)는 오는 22일 서울 효창동 백범연구소에서 여는 ‘20살 평통사, 가슴이 뛰네’ 기념행사에서 평화통일연구소 10돌도 함께 축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