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게시판

[2014. 11. 06~27] 대학생/청년평화아카데미(대구)

평통사

view : 1855


♠ 평화아카데미 1강 이렇게 진행되었습니다. 


1강은 <분단의 망령, 레드 컴플렉스>를 주제로 김진환 교수가 강의했습니다. 강연을 통해 내안의 레드 컴플렉스에 대해 생각해보고 자신을 성찰하는 시간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습니다. 다음은 참가자들의 소감을 간추린 것입니다. 

"통일뿐 아니라 지역감정/이념 갈등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 "어렵지 않고, 쉽고 재밌게 강연" "잘모르고 관심없던 역사, 정치를 쉽고 재밌게 풀어서 강의를 하니 지루할 틈 없이 집중",  내안의 레드 컴플렉스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시간" " 정치나 사회문제에 대해 고민할때 뭔가 풀리지 않은 게 있었는데 그게 레드컴플렉스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한 계기" 

♠ 평화아카데미 2강 이렇게 진행되었습니다. 


2강은 <통일대박? 평화가 밥, 통일이 일자리가 되려면>을 주제로 평화아카데미강사단(김강연)이 강의했습니다. 강연을 통해 통일과 통일정세에 대한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다음은 참가자들의 소감을 간추린 것입니다. 

"강의를 통해 통일과 통일정세와 사실관계에 대해 배우고 다시 한번 환기하는 좋은 계기", "초등학생이었던 2000년 이후 처음 듣는 통일교육, 내고 살고 있는 사회에서 통일이 어떤 의미인지 현실적, 합리적으로 고민할 수 있는 계기", "꼭 합의통일 원합니다" 


 <3강> 일본의 집단자위권행사. 한반도와 어떤 연관이 있을까? 


3강 <일본 집단자위권 행사, 미사일 방어, 한반도와 어떤 연관이 있을까>를 주제로 평통사 오미정 사무처장이 강의했습니다. 강연을 통해 일본 집단 자위권 행사을 문제점을 되짚어 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다음은 참가자들의 소감을 간추린 것입니다. 

"일본 집단 자위권 행사의 문제점을 명확히 알게되었다"", " 군비확장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강의를 듣고보니 안보딜레마에 빠지게 되어 오히려 안보를 위태롭게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일본이 군국주의로 가게 된 것은 민간이 군부를 통제하지 못했던 것이 한 요인이니 만큼 일본 집단자위권 이야기 할때 꼭 이 내용을 덧붙였으면 좋겠다"   


 <4강> 청년의 미래, 노동의 현실 


4강 <청년의 미래 노동의 현실>강연(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은 노동의 의미, 노동과 평화의 관계, 연대의 참뜻을 깨닫는 시간이 되었습니다.다음은 참가자들의 소감을 간추린 내용입니다.

"예비 노동자로서 앞으로 나아갈 사회속의 지침이 되는 강연", "관계속의 나의 가치를 더 크게 깨달아서 너무 뜻깊은 강연", "노동이라는 말을 부정적으로 생각했는데 긍정적으로 인식이 변화". "나는 예비노동자다<❤>" "강연 내용 중에 이유가 설명되지 않은 점은 좀 문제", "노동자라는  말이 나랑은 연관되지 않은 줄로만 느껴졌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 또한 노동자이고 그 노동자를 위한 노동운동을 앞으로 어떻게 전개할지 궁금",  "평화운동했던  나라는 복지국가라고했다" 오늘 강연에서 받은 느낌 때문이었을까요? <2015년 대학생/청년평화아카데미> 주제 선호도 조사에서 청년의 미래. 노동의 현실이 최고 선호주제로 꼽혔습니다.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