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11] ‘G20 규탄 국제민중행동의 날’ 참가 보고
평통사
view : 1627
[11/11] ‘G20 규탄 국제민중행동의 날’ 참가 보고
11월 11일, 국내외 4천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사람이 우선이다! 경제위기 책임전가 G20 규탄 국제민중행동의 날’ 집회 및 행진을 전개하였다. 평통사에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농민회원 등 약 20여 명이 참가하였다.
'G20 정상회의'에 맞춰 한국을 비롯한 미국, 캐나다, 프랑스,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G20 대응 민중행동'에 소속된 세계 시민사회단체들은 '서울선언'을 발표하여 "세계적 경제위기를 민중에게 전가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세계를 강타한 경제위기는 금융화, 노동유연화, 자유시장, 무역개방, 민영화 등을 추진하며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의 실패를 확인시켜줬다"며 "그러나 위기를 민중의 희생으로 그 비용이 지불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G20은 경제위기를 해결하겠다고 모였지만, 정작 중요한 신자유주의 정책문제, 금융자본의 권력문제, 전 세계적인 불평등과 사회적 위기는 정면으로 다루지 않고 오히려 위기비용을 사회적으로 전가하는 처방을 내리고 있다"며 "경제위기 비용의 민중 전가"를 한 목소리로 규탄했다.
![]() △ G20과 FTA 장례식을 치루자 서울선언에 명시된 'G20 대응 민중행동'의 요구사항은 △ 경제 위기 비용을 민중에게 전가하지 말 것, △ 전면적인 금융통제를 실시할 것, △ 대안적이고 사회적으로 정의로운 세계를 만들 것, △ 집회시위의 자유와 모든 시민권을 보장할 것, △ 자본의 세계화, 빈곤의 세계화를 공정하고 대안적인 체제로 전환시킬 것 등이다.
특히, 집회 참가자들은 '집회시위 자유'에 있어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이명박 정부의 노점상 및 노숙인 단속,
'국제민중공동행동의 날' 본 대회 이후 각국 시민사회 대표자 100명 포함 참가자 4천여 명은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바람이 강하게 부는 악천후 속에서도 서울 남영역 삼거리까지 거리행진을 하고 정리발언 및 상여를 소각하면서 집회를 마무리했다.
평통사 회원들은 마무리 집회 후 인근 음식점으로 옮겨 저녁식사와 함께 모처럼 술 한잔 씩 기울이며 뒤풀이를 하면서 동지애를 다졌다.
![]() △ 학생들의 퍼포먼스... G20, 쥐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