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NW 3차 당사국 회의] 3/1 3·1절 기념 한미연합연습 중단 집회
관리자
view : 576
3·1절 기념 한미연합연습 중단 집회 참가
• 일시 : 2025년 3월 1일(토), 오후 1시(현지시간) • 장소 : 다그 함마슐드 광장
3.1절 기념 집회에 참석한 미국 단체들
평통사는 뉴욕에서의 첫 일정으로 유엔본부 인근 함마슐드 광장에서 개최된 3·1절 기념 한미연합연습 중단 집회에 “한미연합연습 중단! 확장억제정책 폐기!” 구호를 담은 현수막을 들고 집회에 참여했습니다.
미국 청년단체인 노둣돌이 주관한 집회에는 뉴욕 외 워싱턴, 필라델피아 등에서 온 재미 한인과 필리핀, 팔레스타인, 미평화재향군인회 등 약 80여명이 참여했습니다.
집회의 시작을 알린 주최측 발언자는 “매년 3월과 8월, 한미연합연습 기간동안 북한 점령, 도시에 대한 무차별 폭격, 나아가 핵폭탄을 사용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며 “우리의 생명을 장난감으로 여기는 군사훈련에 반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핵작전연습이 강화되는 이번 한미연합연습의 성격 및 확장억제와 동맹 강화가 불러오는 한반도와 동북아 핵대결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3.1절 기념 집회에 참석해 발언하는 한국원폭피해자 1세 심진태 지부장과 한국원폭피해자 2세 한정순 회장
다음으로 발언에 나선 심진태 한국원폭피해 1세는 "올해가 일제로부터 해방된 지 80년이 되는 해다. 그러나 우리 원폭피해자들은 해방되지 않았다. 가해자인 일본과 미국은 책임을 인정하지도 사죄하지도 않았다. 그런데 우리가 어떻게 해방됐다고 생각할 수 있나?"며 원폭피해자들이 해방되어야 진짜 해방이라고 힘주어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또한 "어떤 사람들은 미국의 원폭 때문에 해방되었다고 하나, 일제는 원폭이 아니더라도 패망하고 있었다."며 "미국이 핵의 파괴력을 알고도 왜 무방비 상태의 민간인을 상대로 원자폭탄을 투하했는지 묻고 싶다."라는 심정을 토로하며 "원폭투하가 잘못됐다고 미국이 인정하면 어떤 나라가 또 핵을 쓸 수 있겠냐."며 2026년 뉴욕에서 개최 예정인 원폭국제민중법정에 대한 지지와 참여를 호소했습니다. 그의 발언은 핵대결의 진앙으로 변모된 한반도에서 핵전쟁을 막고 핵없는 세계 실현을 위한 국제민중법정이 갖는 의미를 강조한 것이었습니다.
집회에 참석한 미국 청년에게 한국원폭피해자 소개 팜플렛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원폭피해자 2세 한정순 회장도 “전쟁은 끝이 났지만, 우리의 전쟁은 아직도 진행중이다. 핵무기 사용으로 인한 유전적 질환으로 평생을 아픔으로 살고 있다.”며 피해자이지만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그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한정순 회장은 “다시는 전쟁도, 핵무기 사용도 없어야 한다”며 우리 함께 핵 없는 세상을 만들어가자고 이야기했습니다.
집회 참석자들은 한국원폭피해자의 발언 중간마다 크게 호응하며 피해자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습니다. 별도로 감사인사를 전하는 참석자들도 있었습니다. 미국 현지 매체인 Democracy Now에서 한국원폭피해자 심진태 지부장과 한정순 회장에게 미국에 온 이유와 한반도 전쟁위기를 언제 실감하는 지 등의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또한, 오혜란 집행위원장에게도 한반도의 전쟁위기와 미국 정부와 시민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등을 중심으로 인터뷰가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보도가 되지 않아 아쉬움이 남습니다.
미국 현지 매체인 Democracy Now에서 언론 인터뷰를 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벨기에 노동당 Marc Botenga 유럽 의회 의원의 발언이 이어졌습니다. 벨기에 의원은 본인의 발언에 앞서 한국원폭피해자의 이야기에 큰 감명을 받았다며 사람들이 많이 알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크게 공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그는 "미국이 인도태평양 지역과 한반도에서 중국을 겨냥하기 위해 군사화를 확장하고 있다. 몇 년 전, 한미연합연습이 중단되었을 때, 평화회담이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군사 연습이 평화, 외교와는 정반대라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다."며 전쟁연습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나아가 그는 유럽에서 "나토가 전지구적 동맹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는 나토의 방어가 아닌 다른 국가를 착취"하기 위한 것이라며 나토의 확장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Marc Botenga 는 발언 후에 한국원폭피해자에게 찾아와 인사를 했습니다. 평통사는 그에게 원폭국제민중법정에 대한 팜플렛을 전달하며 3월 4일 한국원폭피해자와 국제민중법정 사이드 이벤트에 초대했습니다.
벨기에 노동당 Marc Botenga 유럽 의회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집회 후 참석자들은 3.1절의 의미를 다지는 강강술래 퍼포먼스를 다같이 진행한 후 유엔 미국 대표부 건물 앞까지 행진하며 미군 철수와 한미연합연습 중단을 외쳤습니다. 행진 이후에는 팔레스타인, 필리핀 청년들이 각자의 이슈를 갖고 발언했습니다.
유엔 미국 대표부 건물 앞까지 행진을 했다.
근처 식당에서 진행한 뒷풀이에서는 한미연합연습 중단을 위해 평통사가 해왔던 상륙훈련 반대 대응, 1인시위 등을 소개하며 평통사의 실천들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이날 집회에서 한국원폭피해자들이 1945년 미국의 핵투하의 책임을 묻고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어가자는 발언과 한미연합연습 중단을 주장하면서도 핵대결과 핵전쟁을 부르는 확장억제 폐기를 요구하지 않는 주최측 발언이 대비를 이루었습니다.
집회 참가한 청년들과 평통사 청년들간의 뒷풀이 모습
아울러 주최측의 요청으로 평통사가 작성한 보도자료를 위한 메모에 대해 ‘북핵에 대한 의견 차이’를 이유로 보도자료에 싣지 않았다고 밝혀 노둣돌 입장이 핵대결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노둣돌의 요청으로 작성한 평통사 메모는 ‘대북 핵작전연습이 강화되는 이번 한미연합연습은 한반도 핵전쟁 위기를 한층 격화시킬 뿐이다. 트럼프 정부가 진정 북과의 대화를 원한다면, 한미연합연습 중단과 확장억제 정책을 폐기해야 하며 북도 핵 선제공격을 표방한 핵법령을 폐기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이에 오혜란 집행위원장은 이후 노둣돌 멤버들과의 미팅에서 한미연합연습 중단을 요구하면서 확장억제 폐기를 주장하지 않거나 미국의 패권을 반대하면서 핵대결을 주장하는 것, 핵대결을 추구하면서 원폭국제민중법정을 하는 것은 노둣돌 정체성에서 자기 모순적이고 분열적 실천으로 귀결되며 한반도의 자주, 평화, 통일 실현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에 제기하며 관련된 주제에 대한 후속 논의를 통해 의견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제안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