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협정

[2010/10/08] 42차 SCM에 즈음하여 작전통제권 반환,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며 버락 오바마 미 대톨령에게 보내는 공개 편지(영문 포함)

평통사

view : 2297

42차 한미연례안보협의회의에 즈음하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귀하!
우리는 미국이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operational control)을 반환하고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요청합니다.
한국전쟁 와중에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을 장악한 미국은 한국 전쟁이 끝난 지 57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를 한국에 반환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의 작전통제권 행사에 관한 한미 간의 각종 합의는 미국의 강압에 의해 체결되었거나 한국 국회에서 비준 동의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대표적으로 정전협정 체결 후 미국의 작전통제권 행사는 한미합의의사록('Agreed Minute Relating to Continued Cooperation in Economic and Military Matters', 1954)에 근거를 두고 있으나, 이 합의의사록은 미국의 군사 경제적 강압에 의해 체결된 것입니다. 2012년 6월, 한미 정상회담에서의 작전통제권 환수 연기 결정 역시 국회 동의를 받지 않았습니다. 설령 미국의 작전통제권 행사가 법적 근거를 갖고 있다 해도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은 한국의 군사주권에 관한 문제이므로 미국은 조건 없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전면 반환해야 마땅합니다.
작전통제권은 군사주권의 핵심입니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처럼 작전통제권을 외세에 장악당한채 지속적으로 군사주권을 상실한 나라는 미국이 점령하고 있는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 외에는 없습니다. 이에 전 한미연합사령관(Combined Forces Command) 리처드 스틸웰(Richard Stilwell)은 한국의 대미 작전통제권 이양을 “전 세계에서 가장 경이로운 주권의 양도”(the most remarkable concession of sovereignty in the entire world)라고 비유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한국이 경제 규모에서는 세계 15위이지만 대미 군사 관계에서의 위상은 아프간과 이라크와 다르지 않다는 뜻입니다. 군사주권의 핵심을 미국에 빼앗긴 한국인들의 분노는 미국과 한미동맹에 대한 비판적 여론의 근원이 되고 있습니다. 작전통제권 반환은 호혜 평등한 한미관계의 출발점입니다.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서도 작전통제권을 반드시 반환해야 합니다. 작전통제권을 미국이 행사하는 한 한국은 군령권(military command)을 온전히 행사할 수 없기에, 평화회복이나 제도화 과정에서 전적인 잭임을 질 수 없는 위치에 있습니다. 작전통제권을 반환받아야 한국은 한반도 평화를 실질적으로 책임질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도 작전통제권 환수가 “평화협정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군사적 신뢰구축 조치의 실질적 논의와 실효성 있는 집행을 위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2006. 8.17 국방부, 작전통제권 T/F)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작전통제권 반환은 한국이 평화협정 체결의 당사자가 되기 위한 전제조건입니다. 현대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두 세대에 걸친 기나긴 한국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과제는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북아 및 세계 평화를 위해서도 긴요합니다.
평화협정 체결로 한반도 비핵화의 결정적 전기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평화협정 체결로 한반도에서 전쟁이 종식된다면 북이 핵을 개발․보유하게 된 원인인 한미동맹의 대북 적대성을 상당 부분 제거하거나 한미동맹 자체를 폐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이 진정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바란다면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을 반환하고 평화협정 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요청드립니다.  
 
2010-10-08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상임공동대표: 문규현, 배종열, 홍근수)
 
A Letter to U.S. President Barack Obama on the Occasion of the Forty-second Annual Korea-U.S.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8 October 2010
Honorable U.S. President Barack Obama,
We respectfully call on the U.S. government to return the right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to South Korea without delay and actively pursue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Fifty-seven years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United States, which took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during the war, has yet to return this right to South Korea.
Because the various agreemen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on the issue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were either concluded under U.S. coercion or were not ratified by the South Korean National Assembly, they have no legal effect.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the Agreed Minutes Relating to Continued Cooperation in Economic and Military Matters (1954) has served as the basis for U.S. exercise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but this agreement, too, was concluded under U.S. military and economic coercion.  
The decision to delay the retur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o South Korea at the U.S.-Korea Summit in June 2012 was also not approved by the South Korean National Assembly.
Even if there were a legal basis for U.S.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military operational control is a matter of South Korea’s military sovereignty, and as such, the United States should fully return it without precondition and as soon as possible.
Operational control of the military is at the heart of military sovereignty.  In the international sphere, the only other nations besides South Korea whos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has for so long been in the hands of a foreign power are occupied Iraq and Afghanistan.  Richard Stilwell, the former head of the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referred to South Korea’s relinquishment of its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he most remarkable concession of sovereignty in the entire world.” Although South Korea is the fifteen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its military relationship to the United States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Afghanistan or Iraq.
The United States has taken what is at the heart of South Korea’s military sovereignty, and this is the origin of the resentment that South Koreans feel about the US-ROK alliance. The retur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s a necessary step towards equal and reciprocal Korea-U.S. relations.
The retur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s also necessary for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s long as the United States exercises wartime operational control, South Korea cannot fully exercise its military command, and thus is not in a position to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the restor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Only with the retur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can South Korea be responsible for realiz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Ev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at the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will have a positive impact towards practical discussion and implementation of military confidence-building measures to be included in a Peace Agreement.”  (Ministry of Defense, August 17, 2006)
The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s a precondition for South Korea to become a party to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to end the Korean War, which has already spanned two generations, is critical to lasting peace not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entire region of Northeast Asia and beyond.
The conclusion of Peace Agreement will bring about a decisive turning point towards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nding the Korean War through a Peace Agreement means there will no longer be a need for the hostile posture of the Korea-U.S. alliance agains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or even the Korea-U.S. alliance itself, which has been the main just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nuclear weapons by the DPRK.
We therefore respectfully call on the U.S. government - should it sincerely desire denucleariz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to return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o South Korea without delay and actively pursue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Fr. Mun Kyu Hyeon         Mr. Bae Jong Yeol        Rev. Hong Keun Soo
Co-Permanent representatives of the Solidarity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회원가입